유용한 경제

온디바이스 AI 기반 최신 모바일 기기 경쟁 구도 분석

MP0719 2025. 8. 26. 17:23

모바일 기기 시장은 2024년을 기점으로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쟁 구도로 접어들었습니다. 삼성의 갤럭시 Z플립6, 애플의 아이폰 16, 구글의 픽셀 9가 이끄는 AI 스마트폰 시장은 2025년 405백만 대 출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체 스마트폰 시장의 33%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특히 온디바이스 AI 처리 능력은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 저지연 응답, 그리고 인터넷 연결 없이도 작동하는 AI 기능으로 인해 새로운 차별화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 Z플립6: 폼팩터의 혁신과 AI의 만남

차별화된 AI 활용 방식

삼성 갤럭시 Z플립6는 폴더블 폼팩터의 고유한 장점을 AI 기능과 결합한 독창적인 접근법을 보여줍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기능은 **인터프리터 모드(Interpreter Mode)**로, 접힌 상태에서 커버 스크린에는 상대방이 볼 수 있는 번역 결과를, 내부 스크린에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번역 결과를 동시에 표시합니다. 이는 기존 스마트폰들이 화면 하나로 해결해야 했던 실시간 번역의 한계를 폼팩터의 혁신으로 극복한 사례입니다.

Galaxy AI 2.0의 핵심 기능들은 일상적 사용성에 중점을 둡니다.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기능을 통해 화면의 텍스트나 이미지를 원으로 그리기만 하면 즉시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 스마트 리플라이 기능은 커버 스크린에서 직접 AI가 생성한 응답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스케치 투 이미지 기능은 간단한 낙서를 4가지 다른 스타일의 완성된 이미지로 변환해주며, 이는 창의적 활용도가 높은 기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https://tech.yahoo.com/articles/google-pixel-9as-device-ai-095910715.html?guccounter=1&guce_referrer=aHR0cHM6Ly93d3cucGVycGxleGl0eS5haS8&guce_referrer_sig=AQAAANtq3tm1GEtAYbGopO0dOjyqgAtf0rkwNTPZGicpuawcYCmYNIDv8TGVJoiDoSDo0C8df3b3iFOTM59wwuLNRM0RfEpUU5Jorp3AT3RMGSegr04nfDUUg0D59axnXPbtmMuFftyLlCMnrNFY6l5Cd7zAfP9vY6Ai9x_2HwAFheJe

 

How the Google Pixel 9a's on-device AI is worse than the Pixel 9's

Is better on-device AI worth an extra $300?

www.androidpolice.com

 

성능과 한계

Z플립6는 스냅드래곤 8 Gen 3 for Galaxy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AI 처리 성능이 전작 대비 30% 향상되었습니다. 4,000mAh 배터리는 전작보다 300mAh 증가했으며, AI 기능 사용 시에도 하루 종일 사용이 가능한 수준의 배터리 성능을 제공합니다.

https://www.tomsguide.com/phones/samsung-phones/samsung-galaxy-z-flip-6-might-be-the-best-phone-to-use-with-interpreter-mode-translation-heres-why

하지만 실제 사용자 리뷰에서는 몇 가지 한계점이 지적됩니다. 인터프리터 모드의 번역 정확도가 완벽하지 않아 빠른 대화나 방언이 섞인 경우 오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대방이 자신의 억양에 대해 위축감을 느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또한 커버 스크린의 활용도가 경쟁 제품인 모토로라 Razr 50 Ultra의 4인치 스크린에 비해 제한적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습니다.

 

The Samsung Galaxy Z Flip 6 has a game-changing AI feature

Interpreter Mode could be huge for travelers

www.tomsguide.com

 

애플 아이폰 16: Apple Intelligence의 점진적 진화

프라이버시 중심의 온디바이스 처리

아이폰 16은 Apple Intelligence를 통해 온디바이스 AI 처리에 중점을 둔 접근법을 보여줍니다. A18 Bionic 칩의 16코어 뉴럴 엔진은 초당 35조 번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어, 대부분의 AI 작업을 기기 내에서 처리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가 외부 서버로 전송되지 않아 프라이버시 보호에 매우 유리합니다.

Writing Tools는 텍스트 교정, 다양한 톤으로의 재작성, 요약 기능을 제3자 앱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Genmoji 기능은 사용자의 설명에 따라 개인화된 이모지를 생성합니다. Clean Up 기능은 사진에서 방해되는 배경 객체를 탭 하나로 제거할 수 있어 사진 편집 경험을 크게 개선했습니다.

실제 사용자 경험과 한계

하지만 실제 사용자들의 반응은 예상보다 미온적입니다. Visual Intelligence 기능의 경우, 새로운 Camera Control 버튼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하며, 실질적으로는 사진을 찍어 ChatGPT나 구글에 전송하는 단순한 바로가기 기능에 불과합니다. 이는 구글 렌즈나 ChatGPT 앱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아이폰 16만의 차별점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또한 8GB RAM의 제약으로 인해 복잡한 AI 모델 실행 시 성능 한계가 드러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Apple Intelligence의 많은 기능들이 아직 베타 단계이거나 점진적으로 출시되고 있어, 완전한 AI 경험을 제공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구글 픽셀 9: Gemini Nano의 선도적 멀티모달 AI

가장 진보된 온디바이스 AI 경험

구글 픽셀 9는 Gemini Nano XS 모델을 통해 현재 시장에서 가장 진보된 온디바이스 AI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 모델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능을 갖추고 있어, Call Notes 기능으로 통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요약을 생성하고, Pixel Screenshots 앱을 통해 스크린샷을 검색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합니다.

Tensor G4 칩은 AI 처리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구글의 DeepMind와 공동 설계되어 Gemini Nano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Add Me 기능은 증강현실과 AI를 결합해 단체 사진에서 빠진 사람을 자연스럽게 추가할 수 있게 하며, Magic Editor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포토 편집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드웨어 성능의 트레이드오프

하지만 픽셀 9의 가장 큰 약점은 Tensor G4의 상대적으로 낮은 원시 성능입니다. GeekBench 점수에서 Tensor G4는 A18 Pro나 Snapdragon 8 Elite 대비 현저히 낮은 성능을 보여주며, 특히 그래픽 성능과 전력 효율성에서 경쟁 제품들에 뒤처집니다. 이는 Adobe Lightroom과 같은 무거운 앱 사용 시 체감 성능 차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사용에서는 Android 16의 최적화와 함께 충분히 만족스러운 성능을 제공하며, AI 기능의 독창성과 유용성이 하드웨어 성능의 한계를 상쇄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특히 구글의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한 새 기능 추가는 픽셀 시리즈만의 차별점으로 작용합니다.

 
주요 모바일 칩셋 성능 비교 (100점 만점)

모바일 칩셋 경쟁 구도 분석

성능 격차와 전략적 차이점

최신 모바일 칩셋 간의 성능 격차는 각 제조사의 전략적 차이를 반영합니다. 애플 A18 Pro는 3nm 공정을 활용한 최고 수준의 단일 코어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자랑하며, 특히 AI 추론 작업에서 초당 35조 번의 연산 능력을 제공합니다. 스냅드래곤 8 Elite는 GPU 성능과 멀티코어 처리에서 강점을 보이며, 게임과 멀티미디어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반면 Tensor G4는 순수 성능보다는 AI 특화 기능에 중점을 둔 설계입니다. 구글은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와의 연동을 통해 온디바이스 처리의 한계를 보완하는 하이브리드 접근법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비용 효율적인 중급형 기기에서도 고품질 AI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합니다.

제조 공정과 공급망의 영향

TSMC의 3nm 공정으로 제조되는 A18 Pro와 Samsung Foundry의 4nm 공정을 사용하는 Tensor G4 간의 제조 공정 차이는 성능과 전력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고급 기판(CoWoS)과 HBM 메모리의 공급 제약은 기존 업체들에게 방어적 해자 역할을 하고 있어, 신규 진입자들의 경쟁 참여를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2026년 시장 전망 및 경쟁 구도 예측

 
 
모바일 AI 시장 성장 전망 (2025-2030)

시장 성장과 기술 민주화

모바일 AI 시장은 2025년 248억 달러에서 2030년 812억 달러로 연평균 28.65%의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온디바이스 AI 시장 또한 2025년 266억 달러에서 2032년 1,241억 달러로 확대될 예정이며, 이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규제 강화와 저지연 응답에 대한 수요 증가에 기인합니다.

2026년은 중급형 기기로의 AI 기술 확산이 본격화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프리미엄 모델에 집중된 생성형 AI 기능이 중국 브랜드들(샤오미, OPPO, vivo, HONOR)의 공격적인 가격 정책을 통해 중급형 시장으로 확산되면서, 전체 스마트폰 시장의 AI 생태계가 급속도로 성숙해질 것입니다.

지역별 시장 역학

북미와 서구 유럽은 2024년 GenAI 스마트폰 보급률이 거의 50%에 달하며, 2028년에는 82%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높은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AI 기능에 대한 추가 지불 의향은 여전히 회의적인 상황입니다.

중국 시장은 현지 OEM들의 자체 LLM 모델 개발과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AI 기능의 중급형 기기 적용이 다른 시장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4.8%의 연평균 성장률로 가장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며, 대규모 데이터센터 투자와 스마트폰 보급률 증가가 주요 동력이 될 것입니다.

경쟁사별 시장 위치 전망

애플은 2026년 생성형 AI 스마트폰 시장에서 1위 자리를 탈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Apple Intelligence의 완전한 출시와 함께 강력한 생태계 통합 능력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2026년까지 5년간의 OS 업데이트 약속은 장기적인 AI 기능 발전을 보장하는 차별화 요소가 될 것입니다.

삼성은 2위 자리를 유지하면서도 Open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ChatGPT를 Galaxy AI에 통합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전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기존의 Google 중심 파트너십에서 벗어나 보다 다각화된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시도로 해석됩니다.

구글은 Pixel 시리즈를 통한 AI 선도 역할을 지속하되, Tensor G4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026년부터 완전 자체 설계 칩셋으로의 전환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클라우드-온디바이스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한 차별화된 AI 경험 제공이 핵심 전략이 될 것입니다.

결론 및 시사점

온디바이스 AI 기반의 모바일 기기 시장은 각기 다른 강점을 가진 플레이어들이 다양한 접근법으로 경쟁하는 성숙한 구조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폼팩터 혁신과 AI의 결합, 애플은 프라이버시 중심의 완결성 있는 생태계, 구글은 AI 기술의 선도적 적용이라는 각각의 차별점을 바탕으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2026년까지의 시장 전망을 볼 때, AI 기능의 중급형 기기 확산 지역별 특화된 AI 모델의 등장이 주요 변곡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중국 브랜드들의 공격적인 가격 정책과 자체 AI 모델 개발은 기존 프리미엄 브랜드들에게 새로운 도전이 될 것이며, 이는 결국 소비자에게는 더 저렴한 가격에 고품질 AI 기능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온디바이스 AI 시장의 성공 여부는 실용적이고 일상적으로 유용한 AI 기능의 개발에 달려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AI 기능들이 여전히 '멋있는 기술'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면, 2026년 이후에는 진정으로 사용자의 생산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필수 기능으로 자리잡을 것인지가 관건이 될 것입니다.